macOS 좋은 거 저도 압니다!
하지만 리눅스(Linux)도 질 수는 없으므로, 리눅스 UI도 폰트를 정갈하고 미려하고 예쁘게 다듬는 방법을 간략하게 나마 정리해 봅니다.
우분투(Ubuntu) 기준으로 설치시 디폴트(default)로 Fontconfig를 쓰는 것으로 압니다.
Fontconfig 자주 쓰는 명령어 정리
- 
글꼴캐시 강제갱신 
 $ fc-cache -fvr
- 
등록된 글꼴 보기(KoPubWorld 글꼴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) 
 $ fc-list | grep KoPubWorld
- 
등록된 글꼴 중 한글 폰트 보기 
 $ fc-list :lang=ko
- 
매치된 글꼴 보기 
 $ fc-match
경로
- 
개인 글꼴 설정 파일 저장 위치 
 ~/.config/fontconfig/
- 
시스템 글꼴 파일 위치 
 /usr/share/fonts
 /usr/share/fonts/truetype
Noto Sans CJK/KR 글꼴 계열 지우기
저는 개인적으로 Noto Sans CJK 계열 글꼴이 아래-위로 ‘길쭉’한 모습이 보기 싫어서 다른 곳으로 복사해 놓고는 /usr/share/fonts/ 디렉토리에서 지워버립니다. 그러면 Noto Sans CJK/KR을 찾지 못해서라도 다른 커스텀 설정 글꼴로 나오게 됩니다.
우분투(Ubuntu) 기준으로 fonts-noto-cjk-extra라는 패키지를 apt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로 지워버리는 게 더 깔끔한 방법 같습니다.
fonts.conf 설정 파일
<fontconfig>
    <match target="pattern">
        <test qual="any" name="family">
            <string>serif</string>
        </test>
        <edit binding="strong" mode="prepend" name="family">
            <string>Nimbus Roman No9 L</string>
            <string>KoPubWorldBatang</string>
        </edit>
    </match>
    <match target="pattern">
        <test qual="any" name="family">
            <string>sans-serif</string>
        </test>
        <edit binding="strong" mode="prepend" name="family">
            <string>Inter</string>
            <string>Pretendard GOV</string>
        </edit>
    </match>
    <match target="pattern">
        <test name="family" qual="any">
            <string>monospace</string>
        </test>
        <edit binding="strong" mode="prepend" name="family">
            <string>Ubuntu Mono</string>
            <string>Spoqa Han Sans Neo</string>
        </edit>
    </match>
</fontconfig>위 코드를 복사하거나 이 저장소에서 파일을 받아 적절히 수정하여, 개인 글꼴 설정 파일 디렉토리(~/.config/fontconfig/)에 fonts.conf로 저장해 줍니다.
개인적으로 추천하는 공개 글꼴(폰트)
- monospace – Hack(영문), Spoqa Han Sans Neo(한글)
- sans-serif – Nimbus Sans(영문), Inter(영문), Pretendard GOV(한글)
- serif – Nimbus Roman No9 L(영문), KoPUBWorldBatang(한글)
참고 글
리눅스 데스크탑 글꼴 설정(우분투 Hardy Heron 8.04 기준)
글꼴 설정을 자유롭게… 2탄
자신의 리눅스에 설치된 폰트(글꼴) 검색 및 확인하는 방법